2024-03-29 09:17 (금)
웃어라 꽃섬, 25
웃어라 꽃섬, 25
  • 남해인터넷뉴스
  • 승인 2023.03.16 15: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백로와 왜가리

번식기가 되면 봉강산에서는 백로들이 꽃단장하느라 바쁘다. 귀소의식이 강한 백로와 왜가리들은 매년 같은 곳에 둥지를 틀다 보니 한번 맺어지면 평생을 함께하는 일부일처제가 많다. 백로 수컷이 먹이를 구하기 위해 잠시 둥지를 비운 사이 젊고 건강한 왜가리 수컷들이 순진한 암컷 백로에게 접근하여 수작을 건다. 집요한 왜가리의 수작에 잠시 곁을 내어준다. 이런 일들이 자주 생기는 바람에 봉강산 백로서식처의 풍기가 심각하게 문란해졌다.

우려를 금치 못한 백로 마을의 동수가 작심을 하고 봇짐을 싸서 백리나 떨어진 남면의 평산 왜가리 마을을 찾아갔다. 왜가리 마을의 수장에게 면담을 신청하고 그간 백로마을에서 행해지고 있는 젊은 왜가리 수컷들의 행실에 대한 사과를 촉구하며 다시는 이와 같은 사고가 생기지 않도록 단속해 달라는 간곡한 부탁을 했다. 왜가리 수장이 곰곰이 생각해보니 답답하기도 하고, 미안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고소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평소 새들의 모임에 가면 백로들은 흰빛을 자랑하며 고고한 척 으스대고 상대도 않던 것이 괘씸했기 때문이다. 왜가리 수장은 약간 빈정대는 투로 “우리 왜가리 젊은이들이 혈기왕성하여 하는 일을 어찌 말라하겠소, 그쪽에서 알아서 잘 단속하시면 될 일이지요”라고 퉁을 주어 보냈다.

무참해진 백로수장은 그길로 새들이 왕 황새님을 찾아가 그간의 사정을 말하고 해결책을 부탁하기에 이른다. 지초자종을 다 들은 황새님은 왜가리 수장을 불러 젊은 왜가리 수컷들이 백로 암컷들에게 수작을 걸지 못하게 엄중 단속하여 다시는 그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하라고 타일렀다. 그러나 왜가리 수장은 그 자리에서 조차 황새님의 명령을 듣지 않고 무례하게 반항을 하며 우리는 그렇게 할 수 없다고 말했다.

화가 머리끝까지 치민 황새님이 새들의 원로회의를 소집하여 왜가리에게 큰 벌을 내리기로 했다. 백로는 지금까지 해온 것처럼 마음대로 걸어 다니며 먹고 싶은 먹이를 잡아먹도록 하고, 왜가리 놈은 그렇게 당당하고 잘났으니 가만히 서서 너희 그림자 속에 들어오는 먹이만 잡아먹도록 한 것이다. 백로처럼 먹고 싶은 먹이를 골라 먹지 못하고 가만히 서서 자신에게 다가오는 먹이만 먹을 수 있도록 벌을 내린 것이다. 학수고대(鶴首苦待)라는 말은 학처럼 목을 길게 늘여 몹시 기다린다는 말이다. 당당했던 왜가리도 졸지에 목을 길게 늘어뜨리고 먹이들이 자신의 그림자 속으로 들어오기를 기다리고 또 기다리는 처량한 처지가 되었다는 이야기다. 함부로 남의 것을 탐을 내어서도, 어른들이 이르는 말씀을 새겨듣지 않아도 큰 벌을 받게 된다는 교훈이다.

실제 백로와 왜가리의 섭식활동에는 나름의 생리가 있다. 백로는 일부러 덤성덤성 걸어 다닌다. 그러면서 노랑색 발을 휘 젖는다. 물속에 곤충이나 물고기들이 자신의 모습을 쉽게 알아보고 놀라서 도망치게하기 위해서다. 도망치는 그때를 노려 먹이 사냥을 하는 것이다. 반면에 색이 흐린 왜가리는 다르다. 보호색으로 위장한 회색빛의 왜가리는 곤충들이나 개구리의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그래서 가만히 서 있으면 개구리나 물고기 들이 자신에게 접근해 온다. 그러면 얼른 잡아 먹는다.

백로와 왜가리의 생리를 좀 더 비교해 보면, 백로와 왜가리는 대부분 중대형 크기의 새이지만 가장 큰 종은 왜가리에 있다. 백로는 거의 순수한 흰색이지만 왜가리는 회색 외 다양한 색상을 나타낸다. 왜가는 쉬는 동안 더 높은 곳에 앉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백로가 얕은 물에 더 자주 서 있다. 백로와 왜가리가 함께 서식하는 경우가 있는데 왜가리가 상층부에 앉고 백로는 아래쪽에 대부분 자리를 잡는다. 왜가리의 비행은 멋지고 깨끗하다. 왜가리는 비행 중에 팔다리를 흔들지 않지만, 백로는 비행 중에 다리를 흔든다.

창공을 자유롭게 나는 새는 지상을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늘 선망의 대상이었다. 새를 보는 사람들의 눈에는 이룰 수 없는 비상의 꿈이 묻어난다. 새들은 허공을 날지만 늘 사람들 가까이에 있어왔다. 지저귀는 새소리를 들으며 하루를 시작하고, 둥지로 돌아가는 새를 보며 하루를 마쳤다. 반가운 까치 울음소리에 하루를 설레고, 올빼미가 울면 불길한 예감에 가슴 졸였다. 겨울이 가고 봄이 오는 계절의 변화도 새들이 물어오는 소식으로 알았다. 뻐꾸기가 울면 씨를 뿌렸고, 기러기가 날면 겨울을 예감했다. 옛날 사람들은 새가 하늘과 땅을 오가며 신령을 전하는 신성한 존재라고 믿었다. ‘솟대’를 만들어 마을이 평온과 풍요를 빌었고 무속인 들은 점을 치다가 쌀 위에 새발자국이 생기면 죽은 이가 극락왕생한다고 믿었다. 불교에는 불법을 지키는 새 ‘가루라(금시조)’가 있고, 도교에는 한번에 9만 리를 난다는 ’붕새‘가 나온다. 유가에서는 ’봉황‘이 나타나면 태평성대가 온다고 믿었다. 이렇게 온갖 새들은 우리의 삶 속에 스며있다.

정민의 ’새 문화사전‘에서 발췌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c